경기일보로고
[구리시, 쓰레기 대란 우려 해법없나?] 하. 대책은
지역사회 구리시, 쓰레기 대란 우려 해법없나?

[구리시, 쓰레기 대란 우려 해법없나?] 하. 대책은

“에코커뮤니티 추진, 쓰레기 대란 막아야”

구리시가 당장 내년부터 음식물쓰레기 처리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서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그 어느때보다 절실한 상태다.

3년 전 철회된 에코 커뮤니티 사업 재추진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는 뚜렷하다.

현 소각장의 대보수 사업의 경우, 근원적 대책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또다시 일정기간이 지나면 처리용량과 시설노후화 등을 놓고 고민할 수 밖에 없다. 더 큰 문제가 있다. 이 사업은 생활쓰레기 대책에 국한되면서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상시 고민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음식물과 생활 쓰레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자체시설로 에코 커뮤니티 사업이 급부상 할 수밖에 없는 합리적 이유다.

에코 커뮤니티 사업은 지난 2012년 10월 남양주와 체결한 기본협약이 현재까지 유효한 상태로 남아 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3월에 이뤄진 기재부 산하 공공투자관리센터의 민간투자사업 적격 심사가 내년 3월 만료 시한이 임박해오면서 사업 추진의 시급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시한을 넘어설 경우, 또다시 적격 심사를 받아야 하는 행정력 낭비요인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구리ㆍ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은 구리시 왕숙천로 49 일원에 총 1천688억 원을 투입,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과 주민편익시설 등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1일 200톤 처리 규모의 소각장을 300톤 규모로 늘리고 1일 200톤 규모의 음식물처리시설을 지하로 신설하는 내용이다. 여기에다 실내외 물놀이 시설 즉 주민편익시설을 확충, 친환경 시설로 단장된다.

특히 음식물처리시설은 관리동을 제외한 전체 시설을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은 전면 공원화하는 내용으로 설계돼 있다. 시설이 들어서는 위치는 행정구역 상 남양주시 수석동 427번지 일원으로 결국 남양주 토지에 음식물 쓰레기 시설이 들어서는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시설은 효율성이 높은데다 국고 보조금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습식 바이오 가스화 시설’ 도입이 유력시되고 있다.

게다가 이 시설물은 타시·군과 달리, 고염분 음식물 처리를 위한 ‘습식시설’로 설계됐고 음폐수를 구리하수처리장(거리 약 1Km)과 연계 처리하면서 바이오가스 판매시설까지 설치될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다.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서는 구리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활용, 효율이 가장 탁월한 ‘악취 소각방식’을 고려중에 있다.

소요 재원은 국비 196억 원, 도비 43억 원, 민자 546억 원에다 구리시 312억 원, 남양주시 591억 원 등 총 1천688억 원이 투입된다. 구리시로는 손꼽을 만한 대단위 사업이다. 이와 별도로 430억 원을 들여 노후화된 기존 소각장을 보수하는 구리자원회수시설 대보수 사업도 포함돼 있다.

시 관계자는 “시는 안승남 시장 취임 이후 폐기물류 처리에 대한 근원적 대책을 찾기 위해 자원행정과를 재정비하는 등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 구리시의 미래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면서 “현재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에코 커뮤니티 사업이 행복한 구리 도시 구현에 중장기적 해법이 될 수 있다면 주민 갈등을 해소하면서 착실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