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 뿔뿔이 흩어져 ‘셋방살이 신세’… 효율성 저하
2011년 직제개편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역할이 확대된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이 사무 공간 부족으로 일부 부서가 셋방살이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더욱이 지청에 불과한 경기지청이 서울지방고용노동청보다 더 많은 인원 규모를 갖추고도 업무 공간이 흩어져 있어 고용 행정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3일 경기도와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에 따르면 경기지청은 현재 지역협력과와 고용관리과, 노사상생지원과 등 6과ㆍ3센터(수원ㆍ용인ㆍ화성고용센터)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산재예방지도과와 고용관리과 부정수급팀이 청사 내 사무 공간 부족으로, 경기지청과 수㎞ 떨어진 곳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산재예방지도과는 경기지청과 직선거리로 2.5㎞가량 떨어진 지하철 1호선 화서역 인근에 있으며, 부정수급팀은 수원고용복지플러스센터 맞은 편(직선거리 5.7㎞)에 자리 잡았다.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관계자는 “이미 청사 내 사무 공간은 포화상태”라며 “근로감독관 충원 등이 이뤄지면 일부 부서가 사무 공간을 옮겨야 할 정도로 청사가 협소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부서별로 소재한 장소가 달라 유기적인 행정 처리에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경기지청이 부서마다 업무 공간이 흩어져 있는 기형적 구조를 띠면서 조직 정원이 비슷한 서울지방고용노동청과 비교해 고용 행정 효율이 낮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경기지청의 경우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의 일부 사무까지 분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경기지청은 정원과 사업장 규모 모두 서울지방고용노동청보다 많다.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은 정원 274명(9과ㆍ1팀ㆍ2센터)인데 반해 경기지청 정원은 297명이다. 서울청 관할 사업장 수(2018년 12월 기준)는 12만6천772개인 반면 경기지청의 경우 이보다 900여개 많은 12만7천681개다.
경기도와 서울 전역으로 사업장을 확대하면 차이는 더 명확해진다. 경기도 내 사업장 수는 62만814개(2018년 12월 기준)이며, 서울의 경우 55만8천435개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서울청과 업무분장 및 조직구조 차이를 보이는 도내 8개 지청(경기지청 포함)이 실질적으로 더 많은 사업장을 관할하며, 행정 수요층이 두텁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늘어나는 고용 행정수요를 파악하고 경기지방고노동청 신설 추진이 이른 시일 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지방고용노동청 신설 논의가 지지부진한 사이 경기도의 노동수요는 빠르게 증가해 서울 등 단독 노동청 규모를 넘어선 상황”이라며 “경기도의 고용 관련 행정수요가 많은 만큼 단순한 지청이 아닌 경기지방노동청 신설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