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건강칼럼] 십자인대파열 심하지 않더라도 방치 말아야
문화 건강 칼럼

[건강칼럼] 십자인대파열 심하지 않더라도 방치 말아야

image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세계는 지금 카타르 월드컵 응원 열기로 뜨겁다.

경기 중 생기는 안타까운 부상 장면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특별히 태클이 없어도 갑자기 무릎이나 발목을 붙잡고 쓰러져 통증을 호소하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무릎은 다른 관절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져 외부 충격으로부터 다치기 쉬운 위치에 있고 축구의 특성상 힘껏 달리다가 급정지하거나 방향의 급격한 변화가 많아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부상을 당하기 쉽다.

무릎 십자인대는 관절 안에서 열 십(十)자 모양으로 교차해 무릎의 전후방 및 내외 측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무릎이 과하게 회전 되거나 앞뒤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주는데 운동 중 외상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무릎 관절이 뒤틀리며 심하게 꺾일 때 파열될 수 있다.

무릎 십자인대 파열은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도 흔하게 겪는 대표적인 스포츠 부상 중 하나다. 십자인대가 손상되면 ‘뚝’ 하는 파열음과 통증이 발생하고 열감과 부기가 나타나며 무릎이 덜컹거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부상이 의심되면 신속히 치료받을 것을 권한다.

십자인대 파열이 경미한 경우 주사 치료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하고 무릎의 상태에 따라 보조기 착용이나 깁스를 해 부상 부위를 보호하고 휴식을 취하면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십자인대가 50% 이상 파열됐거나 완전 파열돼 무릎이 불안정하다고 진단되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하다.

전방십자인대 수술로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환자 본인의 힘줄조직을 이식하는 ‘자가건 이식’과 타인의 힘줄조직을 이식하는 ‘동종건 이식’을 할 수 있는데 인대의 손상 정도와 상황에 따라 수술의 방향을 결정한다.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스포츠 부상도 늘어나는 추세다. 운동 중 충돌을 미리 알고 피하기는 어렵지만 운동 전 후 꼼꼼한 스트레칭과 평소 꾸준한 근력 강화 운동으로 갑작스러운 동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