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도 등 안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4인 4색의 전시가 열린다. 안산문화재단(대표 김미화)은 오는 19일까지 전문예술창작지원 사업 중 하나로 시각예술 분야 작가의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지난 2018년부터 진행된 이 사업은 작가의 창작 및 발표활동 경비의 일부를 지원한다.
장소는 전시회장을 넘어섰다. 대부도 면사무소와 성포동 주공아파트 11단지 상가 등 지역민의 생활공간이다.
대부도에서는 이웅철 작가의 <섬 속의 섬>을 주목해 볼만 하다. 에코뮤지엄인 대부도 면사무소를 배경으로 고립된 환경인 섬 사람들의 갇혀 있는 모습을 코로나 상황에 비유했다. 구(舊)라는 수식어가 붙은 오래된 공간에서 전개되는 전시도 눈여겨 볼만하다. (구)떡집에서는 성필하 작가의 <A Flow Not A Flow>가, (구)아울렛마트에서는 김용현 작가의 <대부도에서 만들어진 내리막길-버려진 자전거는 어떻게 그 자유를 획득하였는가>가 전시됐다. <A Flow Not A Flow>는 대부도 곳곳을 조사하며 느꼈던 공간에 대한 의미와 새로운 가능성을 회화로 풀어냈다. 김용현 작가의 작품은 본인 스스로 대부도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과 주민들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영상작업까지 진행했다.

특히 이 세 작품은 모두 걸어서 관람할 수 있는 거리에 전시돼 있어 ‘섬이라는 좁은 공간 속 바다만큼 먼 의미’가 공존하는 현실을 한 번에 느낄 수 있다.
뭍에서는 홍남기 작가의 <밤과 낮>이 관람객을 맞는다. 성포동 주공아파트 11단지의 한 상가에서 열리는 이 전시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 일련의 사건들을 시각화했다. 급속 팽창한 수도 서울의 한 위성도시가 겪은 과거가 인물과 이미지로 치환돼 시간여행을 하는 흥미로운 전시다.
안산문화재단 관계자는 “방역지침을 준수하고 관람인원을 제한한다”며 “자세한 문의는 재단으로 전화해 달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