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속 도쿄올림픽이 진행되면서 스포츠에 관한 관심이 높은 시기다. 코로나19 영향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부상도 올림픽 출전에 발목을 잡았다. 축구의 손흥민, 김민재 선수는 부상의 위험으로 도쿄올림픽 출전이 무산됐고, 도마의 신 양학선 선수는 아킬레스건과 햄스트링(허벅지 뒷근육) 부상으로 아쉬움을 남겼다. 운동선수들도 다치는 만큼 일반 생활체육인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 자신의 체력에 맞지 않는 격한 운동은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스포츠 손상은 근골격계 손상을 일컫는다. 무릎, 발목 등 하지의 손상과 어깨 등 상지의 손상, 척추 관절의 부상이 많다. 특히 스포츠 손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발목, 손가락 염좌와 같은 가벼운 부상부터 무릎 십자인대, 아킬레스건, 어깨 회전근개 손상, 골절까지 다양하다. 운동 중 무리한 동작 또는 사람 간의 충돌로 인한 부상은 힘줄 파열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병원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후유증이 적다. 지난 2019년 스포츠안전사고 실태조사에서 부상이 많은 부위로 발목, 무릎, 어깨, 손목, 허리, 손가락 등이 지목됐다. 부상 원인은 무리한 동작, 사람과의 충돌, 넘어짐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시적인 통증이란 생각에 방치하다가 악화된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다친 부위가 붓거나 열감이 있으면 지체하지 말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부상 부위의 힘줄이 끊어진 상태라면 심한 통증이 수반된다. 힘줄 파열은 수술을 피할 수 없다. 스포츠 사고를 막으려면 △준비운동 △봉인 운동 수준 파악 △적당한 휴식 △종목에 맞는 복장 및 안전용품 착용 등도 필요하다. 건강해지고자 하는 운동이 부상으로 이어지면 운동을 기피하는 현상이 생겨, 부상 후 건강이 급속도로 안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충분한 준비운동과 마무리운동, 체력에 맞는 적당한 운동으로 부상을 멀리해야 운동 생활을 오래도록 즐길 수 있다. 권오룡 연세스타병원병원장
건강·의학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2021-07-26 20:58